전기차는 앞뒤 모두 드럼브레이크 적용도
컨텐츠 정보
본문
고려 해 볼만 하다고생각합니다
모터의 회생제동을 적극 활용하되
여기에 추가가 필요한 제동력 또는 저속에서의 정지를 할 땐
드럼브레이크를 활용하는것이죠.
분진도 덜나오는 방식이고 가격도 저렴해 장점이 많으며
무엇보다도 모터의 회생제동을 활용하면 드럼브레이크의 사용빈도가 적어져
내부의 열이 배출되지않아 제동력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상쇄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관련자료
댓글 4
네츄럴캥거루님의 댓글
일부 전기차들은 브레이크를 밟으면 일단 회생제동 으로 멈추게 되어있습니다. (일부 하이브리드 포함) 일정 압력이 넘어가면 그때야 회생+유압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방식이죠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
이미 많은 브랜드가 유사 브레이크 와이어 시스템을 적용했고 말씀하신 것처럼 브레이크 작동시 회생제동이 적극 개입된 방식은 이미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 소비자가 그깟 작게는 몇만원 많게는 몇십만원 때문에 브레이크를 드럼으로 교체할 이유가 없긴 하지요 제조사도 그걸 알고있는 겁니다. 이미 전기차는 디스크에 녹이 올라올정도로 브레이크를 쓰지 않는 수준까지 올라 와있으니까요.
이건 제생각인데 여러가지 이유로 제조사입장이던 소비자 입장이던 현시점에선 전기차 기준 으로 드럼 방식은 득보다는 실이 많은 시스템 같네요
이미 많은 브랜드가 유사 브레이크 와이어 시스템을 적용했고 말씀하신 것처럼 브레이크 작동시 회생제동이 적극 개입된 방식은 이미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 소비자가 그깟 작게는 몇만원 많게는 몇십만원 때문에 브레이크를 드럼으로 교체할 이유가 없긴 하지요 제조사도 그걸 알고있는 겁니다. 이미 전기차는 디스크에 녹이 올라올정도로 브레이크를 쓰지 않는 수준까지 올라 와있으니까요.
이건 제생각인데 여러가지 이유로 제조사입장이던 소비자 입장이던 현시점에선 전기차 기준 으로 드럼 방식은 득보다는 실이 많은 시스템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