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친구랑 대판 싸우고 손절했는데 제가 이상한가요?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어제 금요일 밤이고 해서 저도 퇴근하고 꽤 오랬동안 얼굴 못 본 친구랑 만나서 삼겹살에 소주한잔 하려했는데, 친구랑 대판 싸우고 손절했습니다.

 

일단 제 얘기를 하자면 98년생 28살이고, 어렸을 때 부터 안 좋은 곳이 있어서 공익으로 병역을 대체했습니다. 사회복지사 하는 친구(였던 놈)랑 만났다가 뭐 근황토크를 하다가, 제가 아무리 현역으로 안 다녀왔어도 그렇지 도저히 역겨워서 못 들어주겠어서 한마디 했더니 대판 싸웠네요.

 

그놈이 뭐 회사 일 때문에 힘들고 짜증난다길래 뭔일인가 했죠. 지금부터 그놈을 A라고 하겠습니다.

 

그 A라는 놈이 일을 하는데 그 복지관에서 일하는 공익들이 너무 불성실 하다길래 일단 들어줬죠. 얘가 그렇다면 뭔가 공익들한테 문제가 있겠지 하는 생각으로요.

 

근데 그놈이 공익들한테 초과근무를 좀 시키려고 했다고 하더라구요. 뭐 복지관 무슨 행사 때문에 준비 작업도 그렇고 바쁘니까 공익들한테 야근 좀 하라고 했다대요. 근데 공익들이 뭐 반항한다고 욕을 하길래 제가 하나 물어봤죠.

"너 공익들한테 초과 분만큼 대체휴무 준다고 말은 했어?"

 

여기 현역 출신이신 분들 거의다 모르실 것 같아서 알려드리자면 공익한테 절대로 야근을 댓가없이 시킬 수가 없습니다. 초과근무를 시키려면 1)공익요원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하고 2) 초과근무한 분 만큼 대체휴무를 줄 의무가 기관에 있어요.

 

A : 군대 대신 온 놈들인데 고작 그 기관 행사준비기간이랑 행사기간 며칠동안 한두시간 더 해달라는 말도 하면 안 되냐? 내가 좀 편하게 병역의무를 대신 하는구나 하고 그냥 좀 하면 안 되? 안 그래도 복지관 사정상 공익들이 일 안 하면 복지사들 힘든데 니네 공익들이 그 정도도 못 하냐? 너 진짜 공익근무할 때 칼같이 근무시간 지켰어?

본인 : 어. 지켰어. 니네 복지관 뿐만 아니라 다른데 다그렇게 해. 군대 대신이고 나발이건간에 법에 그렇게  써있다니까? 공익들 불러쓰는 다른 기관들 다 그렇게 한다고. 아무데도 니 생각처럼 안해. 너는 니가 대학 때 알바하던 곳 사장이 초과수당 안 주면 지랄 안 할거냐? 그거랑 똑같애.

 

A : 그럼 군인들은 6시 일과시간 끝나고도 새벽에 자다가 일어나서 근무서고 상관이 명령하면 일과시간 이후에도 작업도 해야되고 훈련도 며칠씩 밖에서 텐트치고 하는데 그건 뭔데? 난 그 법이 잘못됐다고 생각해. 공익들도 저녁 밥값을 주거나 저녁식사를 제공해주면 일을 더 시킬 수 있게 해줘야 형평성이 맞는거 아니냐?

 

 그리고 복지사들 다들 야근하는데 공익들만 싸가지 없게 칼퇴하면 기분이 좋겠냐길래

 

본인 : 아니 공익들은 6시가 지나면 그 이후에 니네 복지관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알빠 아니라니까? 일이 바쁘면 니네 복지사들이 10시 까지든 11시 까지든 야근을 쳐 하라고. 공익들은 정해진 근무시간 9to6까지만 니네 기관에 성실복무할 의무가 있는거고 그 이후의 저녁 시간은 온전히 걔네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권리가 있는 시간이라고.

그리고 그 논리면 씨발 너는 그 월급 왜 쳐받고 있냐? 공익들은 말 그대로 사회복지 업무에 대한 아무 지식이나 전문성 없이 군인 병사 월급 받으면서 거기서 시키는 대로 일 하는거고 니는 거기서 제대로된 월급을 받고 일하는거야. 게다가 몸도 안 좋은데.

그 아무 전문성도 없는 공익들한테 정해진 8시간 근무시간을 도움을 받고도 니 일처리를 다 못 하면 니네 복지사들은 그 월급받으면서 존재하는 이유가 뭐냐?

그리고 형평성? 애초에 공익으로 빠지는 이유가 뭔데? 몸이 어디가 아파서 가는거야 병X아. 어디 아픈애들한테 니네 현역만큼 힘들어야 형평성이 맞다 이게 맞는 논리냐?

...

이 이후 대화는 생략 하겠습니다. 하도 서로 감정 싸움이되어버려서 굳이 여기 옮기는 것도 안 좋아 보이구요.

 

여기 분들한테 묻고싶은데 제가 이상한가요? 제가 28살인데 여기 분들은 아무래도 저희세대보다도 군대에서 선후임 관계에서 이런저런 부조리도 많이 당하셨을 것도 같고 더 힘들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정말 군대에서 고생 하시는 분들 존경하고 덕분에 발 뻗고 잔다고 생각해서 감사하고 있습니다(그런 군인들을 부적절하게 움직인 내란 수괴 윤석열은 다시는 감옥에서 나오면 안 됩니다!!). 같은 이유로 군대 다녀오신 예비역분들께도 감사하단 생각이구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익이라고 절대로 무시를 당해도 된다거나 편하게 복무한다는 이유로 부당하게 노동력을 착취당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저희라고 아프고 싶어서 아픈거 아니고, 저희도 저희 선택으로 공익이 된게 아니라 신체검사 결과가 4급이 떠서 공익으로 간 것일 뿐입니다.

 

더욱이 저 놈처럼 공익한테 정해진 근무시간 주 40시간을 보조를 받고도 자기들 일 너무 힘들다고 대체휴무도 없이 일을 더 시키는 것은 자기 본 업무에 최소한의 책임감이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여기 글 올리는 이유는 현역 나오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 궁금해서요.

정말로 공익이면 법에 그렇게 써있어도 '인간적으로' 그냥 야근은 해줘야된다 그렇게 생각하시는건지,

한시간 더 근무시킨걸 대체휴무를 달라고 요구하는 공익들이 야박하다거나 치사하다고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역 다녀오신 분들 눈에는 제가 이상해보이나요?

관련자료

댓글 12

대파미나리님의 댓글

저희 직장도 직군마다 칼퇴하는 업무와 칼퇴라는건 있을수 없는 직군이 있습니다. 제가 보기엔 복지사는 그 업무 영역에서 알아서 하는거고, 칼퇴가 규칙인 공익과 비교하면 안되는거죠.

KORJSH님의 댓글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그 놈한테 한마디 했더니 말같지도 않는 논리 대길래 대판싸웠네요. 어차피 저렇게 자기 일에 책임감도 없는놈 친구로 둬봤자 저한테 득될거 없는거 같아서 손절쳤어요

바람도리77님의 댓글

음.. 제가 A라면 부탁은 해볼거 같고 싫다면 어쩔수 없는거고.
 제가 공익 이었다면 A와의 평소 관계에가 좋았다면 해줄거 같습니다.
 
 A는 생각하는게 문제가 좀 있는거 같고요.
 공익은 너무 원칙만 따지는거 같습니다.

KORJSH님의 댓글

흠.. 물론 너무 원칙만 따진다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공익 입장 되보니까 아니더라구요.. 예외적으로 그냥 해주는 것도 한두번이지 쟤처럼 며칠씩 요구하면 빡칩니다.

닉넴임님의 댓글

공익은 끌려간 사람
 복지사는 돈 받고 일하러 간 사람
 
 저도 현역으로 야근도 잦고 주간 야간 근무 다 서고 했는데
 a는 오래 안 봐도 되는 사람 맞는 듯요

오색나비님의 댓글

손절각..
 사람들이 남은 사정이나 불행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게 많습니다. 내가 피곤하고 힘든데 남이 힘들던 말던 그게 무슨 상관? 이러죠. 보통 저런 경우는 거울치료가 가장 효과적이고.. 저 친구 저거 안고치면 언제 사단 한번 나겠네요
 요즘은 공익 소집 해제 되면 바로 민원, 고발 많이 한다고 하죠.
전체 56,905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3,039 명
웹서버 사용량: 36.21/150 GB
24%
스토리지 사용량: 104.08/295 GB
35%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