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현대자그룹 차세대 도시 모빌리티 연합 출범

컨텐츠 정보

본문

현대자동차그룹이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는 민관 협력체인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를 공식 출범했습니다. 이 연합은 특히 교통이 불편한 지역과 이동 약자들을 위해 포용적 모빌리티 혁신을 추진하고,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강희업 국토교통부 차관과 송창 현대자동차그룹 AVP(Advanced Vehicle Platform) 본부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했습니다. NUMA는 지난 3월 '플레오스(Pleos) 25' 컨퍼런스에서 처음 발표된 바 있으며, 현대차그룹의 AI,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비전을 구체화하는 일환입니다.


NUMA는 정부, 산업,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31개 기관이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모델로, 클라우드 기반 모빌리티 생태계를 공동 개발합니다. 앞으로 ▲지역 교통 시스템의 AI 전환 ▲자율주행 MaaS(Mobility-as-a-Service) 도입 ▲스마트 도시 개발을 위한 AI 모빌리티 확장 등 3단계 로드맵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현대차그룹은 출범식에서 AI 기반 교통 솔루션, 나노 모빌리티 기기, 이동 약자를 위한 맞춤형 차량 등 다양한 포용적 모빌리티 시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송창 본부장은 "자율주행과 AI는 우리 일상을 완전히 변화시킬 강력한 기술"이라며, "현대차그룹은 기술을 통해 이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연결하고, 전 세계 도시의 모빌리티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강희업 차관은 "모빌리티는 더 이상 단순한 인프라가 아닌 필수 서비스"라며,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민관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NUMA 외에도 현대차그룹은 셔클(Shucle), 'R1' 디바이스 및 나노 모빌리티, 자율주행 파운드리(AVF)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이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양산에 앞서 '플레오스 SDV 표준 포럼'을 개최하여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964 / 4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2,846 명
웹서버 사용량: 35.30/150 GB
24%
스토리지 사용량: 91.89/98 GB
94%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