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에 올라온 유승민 딸 교수임용 규탄 대자보
컨텐츠 정보
본문
관련자료
댓글 21
뎅뎅피아님의 댓글
교수 임용 시에 점수가 엄청 중요한데,
논문 등급별로 몇 점..
제일 큰 것은.. 교원 경력이다. 그건 교육조교부터 가능하며, 시간강사 경력이 엄청 크다.
그래서 박사 후에 국내외 학회지에 논문 내는 걸 엄청 열심히 한다.
그리고 강사 경력도 알차게 채운다.
그래야 겨우.. 교원 임용 경쟁에 비벼볼만 하기 때문이다.
근데.. 전학기에 수료했는데, 다음 학기에 전임교수 임용??
사실.. 이건 채용 점수 면에서도 불가능하다.
내가 우리학교에서 조교를 가장 길게 한 사람 중 한 명인데,
내 경험에 비춰보면... 막판에 논문 숫자, 경력 1년 이런 걸로 당락이 결정된다.
최종 면접에 가는 것도 그 점수에 의해서이다.
교수들간의 의견이 갈릴 때도, 그 점수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누가봐도.. 이해가 안되는 임용인 것은 맞다.
다만, 본인이.. 학위 취득 이전에.. 이미 관련 실무에서 대외적 성과가 있다가거나, 외부 네임드 인사인 경우는 특별 점수, 혹은 특별 인용이 있다.
근데, 무역학과에서 그런 특별 실적이 뭐가 있을까 싶다.
이건 본인이, 대학이 제대로 답해야할 요소들이다.
논문 등급별로 몇 점..
제일 큰 것은.. 교원 경력이다. 그건 교육조교부터 가능하며, 시간강사 경력이 엄청 크다.
그래서 박사 후에 국내외 학회지에 논문 내는 걸 엄청 열심히 한다.
그리고 강사 경력도 알차게 채운다.
그래야 겨우.. 교원 임용 경쟁에 비벼볼만 하기 때문이다.
근데.. 전학기에 수료했는데, 다음 학기에 전임교수 임용??
사실.. 이건 채용 점수 면에서도 불가능하다.
내가 우리학교에서 조교를 가장 길게 한 사람 중 한 명인데,
내 경험에 비춰보면... 막판에 논문 숫자, 경력 1년 이런 걸로 당락이 결정된다.
최종 면접에 가는 것도 그 점수에 의해서이다.
교수들간의 의견이 갈릴 때도, 그 점수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누가봐도.. 이해가 안되는 임용인 것은 맞다.
다만, 본인이.. 학위 취득 이전에.. 이미 관련 실무에서 대외적 성과가 있다가거나, 외부 네임드 인사인 경우는 특별 점수, 혹은 특별 인용이 있다.
근데, 무역학과에서 그런 특별 실적이 뭐가 있을까 싶다.
이건 본인이, 대학이 제대로 답해야할 요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