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부모님에게 용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저는 대학교 졸업은 안하고 20살부터 취업해서 군복무를 제외하고 계속 직장만 다닌 29살 청년입니다.


제가 부모님에게 용돈을 드린 건 군대를 제대한 23살부터인데, 이때부터 회사를 다니면서 달마다 아버지 명의 통장(적금) 100만원씩, 그리고 50만원씩 용돈을 드렸었습니다.

 

핸드폰 요금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아르바이트 하면서 제가 내고, 보험비는 20살 때부터 제가 냈습니다.


이때부터 월급이 얼마든 버는 족족 고정 지출 150만원을 부모님에게 드렸었는데, 용돈을 6년동안 드리면서 생신 선물도 따로 챙겨드리고 그랬었습니다.

전역하고는 월급이 200 초반, 지금은 300 초반입니다.



근데 어느 순간부터 제가 써야할 곳이 있고 생각했던 재정상황에 따라서 못드릴 때도 있었는데 이럴 때 저에게 왜 못주는지, 어디다 돈을 썼는지 이런 거를 여쭤보실 때면 순간 스트레스가 확 올라올 때가 있습니다.


아버지는 제 지출이 헤프다고 하시면서 적금을 100만원씩 넣으라고 하시고(제가 주식이든 코인이든 ETF등 한다고 하면 절대 하지말라고 하심), 어머니는 50만원씩 용돈을 계속 요구를 하시는데 저는 안된다고 한 적 없이 그냥 군말없이 하라는 대로 했었습니다.


저도 분명 제가 써야할 곳이 분명하게 있고 이런 곳에 써서 나의 자금을 마련해보겠다 라고 말씀을 드리면 너무 헤프게 쓴다고 하시고 한 달이라도 어머니에게 용돈이 밀리면 저번 달 안준 거 포함해서 100만원으로 달라고도 하십니다...


지금 제가 따로 부업도 준비하고 그에 대한 자금이 모잘라 카드론을 800을 쓴 상황에서 이걸 어떻게 좋게 말씀을 드려야 할지 혼자서 생각이 많네요... 이 카드론에 대한 800은 말씀을 안드린 상황입니다.


예전에 귀뜸으로 적금도 그만넣고, 용돈도 조금 줄여서 나 하고 싶은 거 하고 싶다고 말씀드렸더니 "넌 돈에 대해서 헤퍼서 안돼"라고 하십니다.


저희 가족은 돈 얘기만 안나오면 참 화목하고 행복합니다.

하지만 돈 얘기만 나오면 서로 예민해지고 스트레스를 받아합니다.


제 선에서 부모님과 트러블 없이 다 해결하고 싶은 마음이 너무 가득해 답답해서 이렇게 남겨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26

sysm1212님의 댓글

내돈도 내돈 자식돈도 내돈이 된거같습니다
 초면에 죄송하지만..
 저희는 줄돈도 없지만 받을돈도 없다고
 하셨습니다

멘당님의 댓글

그게 당연한 거라면 조금 속상할 것 같네요 ㅋㅋㅋ

sysm1212님의 댓글

@멘당  저희는 간 마음만큼 마음이 다시 돌아왔습니다...어릴적부터 넣던 보험들도 성인이 되고 출가할때까지 넣다 주셨고요

panamera43님의 댓글

부모님집에서 살고계시면 생활비로 100만원정도는 드려야지싶은대여.나가살아도 그장도는들아가니까요. 그게아니라면 월급300에 150은 과합니다.

멘당님의 댓글

제가 그래서 나가 산다고 말씀드리니, 나가지 말라고 하시더군요 돈 아깝다고...
 월급의 3분에 1이면 적당 한 걸까요??

맨식스님의 댓글

@멘당 
 후에 부모님 병원비 상조 자식 교육 다 감당하시려면 지금부터 조금씩 멀 넣으셔야 좋은데.
 지금 부모님께 드리는거 줄이시는 수 밖에요

Morgenglut님의 댓글

적금부어서 님에게 나중에 주실분들인거죠?
 불편하시면 직접 적금을 넣겠다고 하시면 안될까요?

멘당님의 댓글

경제적인 건 아버님이 꽉 잡고 계셔서 어떤 좋은 상품들을 말씀드려도 아버님이 알고, 하고싶은 상품으로 해야해서요..

맨식스님의 댓글

@멘당 
 경제적으로 독립하십셔.
 지금도 그렇게 통제권 가지시면
 자식이 40 50 이되어도 노인께서 다 휘두르려하실거고.
 노인되어 위축되고 쪼들리면 모든 기준은 자식 보다 본인 챙기기 바빠지실수 있어요.

드러버서님의 댓글

글 읽고,
 힘들어하던 친구가 생각나네요.
 이런 비슷한 상황이다가 서른넘어 결혼하고 1년만에 억지로 분가한 친구가 있습니다.
 결혼 때 1500 도 없어서 분가도 못하고 살다가 어느 순간 이게 뭔가 싶어서
 반지하 월세로 겨우 독립했다고 했습니다.
 
 부모자식이라도, 더이상 애가 아닌데 각자의 삶은 존중해야지 싶습니다.

멘당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부모님에게 조금 더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지 정리에 도움이 됩니다.

sysm1212님의 댓글

본인이 더 잘아시겠죠..이게 가족의 생활비로
 쓰일지...혹시나 모아서 주실건지는

독일인의사랑님의 댓글

형님 인생사세요.
 그리고 분가하세요.
 앞으로 결혼도 해야하고
 돈 많이 필요합니다.
 용돈도 생신이나 명절에만 드리시고요.
 부모님이 경제활동을 아예 못하신다면
 이해가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빨리결정하세요.

얼라이먼트ddr님의 댓글

처음부터 니 수준에 안맞게 말도 안되는 금액을
 드렸네. 도무지 이해안되는 질문내용과 사고방식...저리 많이 주고 나중에 니 자식한테도 그만큼 달라고 할거냐?
 세상에는 정도라는게 있어.
 우선 니 삶이 우선이지 앞가림도 제대로 못하면서 부모부모...지긋지긋하다.
 우문현답식 이런 글들

달맞이길30님의 댓글

300이면 드리지 마세요...
 서운해도 할 수 없습니다..
 설.추석에만 조금...
 
 
 나중에 부모님 아프시면 목돈 들어 갑니다..
 병원비 장난 아니에요..
 대학병원 한 번 갔다오면 천이에요..
 (간병비+병원비포함)
 앞으로 돈 들어 갈때 많으니..
 지금은 드리지 마세요...
 
 결혼도 해야 하고..
 돈 들어 갈때가 줄을 섰는데..
 무조건 돈 모으세요..

멘당님의 댓글

네, 생각보다 먼 미래라고 생각을 했지만 그렇게들 말씀들 주시니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아리송허지님의 댓글

본인 미래는 준비하시는가요?
 냉정하게 생각하세요.
 드리는  금액이 커지면 커지지. 줄지는 않겠네요.
 님 후반의 인생도 생각하셔야죠?

이박명님의 댓글

보험이나 들어주세요
 폐암으로 비급여항암때문에 어렵다는분
 청원글잇네요
전체 53,688 / 9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4,802 명
웹서버 사용량: 33.84/150 GB
23%
스토리지 사용량: 89.23/98 GB
91%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