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맞벌이 부부입니다. 남편이 주는 생활비가 적당한지 판단 부탁..

컨텐츠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남편분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희는 맞벌이 부부고 자녀는 초등학교 4학년, 7살 아들 두 명 있습니다.

남편 연봉은 4,600만 원(세전), 저는 6,380만 원(세전)입니다.

남편은 개인 고정비(보험, 통신비, 식비, 주유, 용돈 등 등)는 모두 본인 부담하고,

생활비로는 매달 145만 원을 줍니다.

아이들 매달 나오는 수당 합쳐서 40만원 정도 되고

남편이 준 돈과 아이들 나오는 수당 외 나머지 생활비를 분담하고 있습니다. 저도 알뜰한 스타일은 아니어서 남편이 준 생활비 145+육아수당 40+ 엄마월급 = 생활비 500 초반 정도 쓰는 것 같아요. 생활비 안에 저의 개인 고정비는 포함되어 있있습니다. 제 용돈을 따로 썼었는데 아이들 교육비, 식비 등 점점 늘어나니 용돈에서 어차피 부담하게 되어 의미가 없어져서 같이 씁니다.

 

제가 아무리 아끼고 생활비를 줄인다고 해도 145만원을 받는게 부당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본인은 저보고 많이 쓴다고 아껴쓰라고만 해서 요즘 너무 스트레스가 큽니다.

1년에 제가 받는 생활비가 1,740만원이 됩니다.

남편이 부담하는 대출 따로 없고요.

월급 제대로 갖다 주지도 않고, 이 정도 생활비 받고 살면서 이런소리까지 들으며 살아야 하나 싶네요.

전에는 보너스 700만원까진 줬었어요. 전세대출 이자갚고 1년동안 2,200만원 정도 받았으니 그럭저럭 살만했는데 이제는 그것도 안준다 하네요.

참고로 인구 28만 정도 중소도시 살고 있습니다.

이 상황이 공평한 분담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다른 분들은 보통 어떻게 하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맘카페에 올리면 같은 여자들이니 제 편만 든다고 할 거 같고

보배드림에 올리면 헤프게 쓴다 욕먹을까 겁나면서도 냉정한 판단을 듣고싶어 올립니다.

관련자료

댓글 29

으아가악아개님의 댓글

부부끼리 왜 공평한 분담을 하는거에영?? 11살 7살 해봐야 교육비 얼마나 들어간다고 많이잡아도 200이면 넘칠거고, 식비도 그렇고.. 그럼 도대체 어디다가 뭘 쓰길래 500도 모자라다고 하는거에영??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불공평한 분담이라서 말씀드린건데요...
 500모자란다고 안했어요..알뜰하지 못했다고 했는데...
 교육비 100~120, 식비 100~120, 관리비 난방포함 30~40, 보험료 15 주유비 15 인터넷,통신
 비 15만, 의료비 등 고정지출 40, 가족회비 5 이발비 3,피복비 20 등등  대략 그런것들요, 미용실 화장품 잘 안씁니다 신용카드 안써요. 저도 500이 가장 높은 지출입니다..

으아가악아개님의 댓글

@뭐든해보자고라  수입에비해 보험료지출이 너무 적고, 인터넷/통신비지출은 과하고 의료비는 순수지출인가요? 실비에서 돌려받는거 공제한건가요? 그거만 빼면 알뜰한거 같은데..
 공평하네 마네 하지마시고 남편이랑 도란도란 앉아서 수입/지출내역 공유해서 미래계획을 함께 세워야지 니돈내돈 나눠서 니쓸거 나쓸거 따져서 써버리면 월천을벌던 억을벌던 돈이 안모여요.. 남편이랑 진지하게 구체적인 자금계획을 세워보세요..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자동차 구입비는 없고 차량 두 대 각자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세대출 20만원 초반 정도 있습니다.

국외의원님의 댓글

그럴땐 145만원을 줄테니 남편한테 살림을 해보라 하십셔!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오! 소름끼쳤어요! 이 방법을 써야겠네요 못하겠다고 하면 쓰레기고 하겠다고 하면 땡큐고 당장 넘겨줄 거 같아요. 제발 가져가주길... 감사합니다.

광형님의 댓글

바꿔서 아내분이 남편한테 생활비 주시고 생활해보면 답이 나오겠네요 누군가는 많이 쓰겠지요. 그런데 왜 남편이 월급을 제대로 안줬다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연봉대비 제대로 주신거 같은데...아내분은 생활비 따로 안주시나요? 가계부를 한번 써보세요. 살아야 하나 싶은 생각들면 이혼하세요.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저는 제 월급 생활비로 다 써요 330~340만원 정도됩니다. 많이 쓰는 거 압니다. 줄여야죠. 제가 줄인다한들 145만원은 아닌거 같아서요.
 제작년까지 남편 보험료 통신비 다 내주고 110~120받았었어요. 보너스 500따로 받았구요. 시어머니 보험료도 다 냈는데 시어머니 부모공제받은 연말정산 10원도 말 안하더라구요.  변호사 3명 만나 이혼 상담했는데 이혼하고 받는 법정 양육수당보다도 적더군요. 이혼접수하고 고쳐서 이제 145만원 받은지 딱 1년 됐어요...따로 적금이나 그런거 모아서 받은적 없어요. 저는 못아껴 다 썼다쳐도 남편돈은 결혼생활 12년동안 생활비주고 어디간지 1도 몰라요..답답합니다.

특성없는남자님의 댓글

여자들은 맞벌이 하면 그냥 벼슬단것 처럼 유세네요. 연애할때 비용도 거의 안냈을거면서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유세인 적 없고 소득대비 당연히 생활비 제가 더 많이 분담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비율이 문제죠 요즘 세상에 혼자 벌기 힘들어요. 육아휴직도 돌아 가면서 했고. 제작년까진 남편한테 생활비 120만원 받아서 남편 통신비 보험료까지 다 부담해줬어요  2000만원 넘는 돈은 작년 1년 딱 한번 받아봤습니다.
 저 육아휴직때 돈 없을때리 개인 옹돈 아예 없었어요. 남편휴직때 애 본다고 기죽을까봐 생활비 말고 담뱃값 30만원 따로 부쳐줬습니다. 벌써 6년 전 일이네요...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생활비 145만원도 안 주시나봐요 대출나가는거 다 포함해서 145만원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오해는 마십시오.

파란pp님의 댓글

남편이 알뜰하면 남편이 하는것도 좋지 않을까요?  우리집은 제가 합니다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저도 남편주는게 나을거 같아요. 진지하게 얘기하고 넘기려고요. 감사합니다.

내가너가아저씨님의 댓글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시고, 솔직히 실수령하면 과소비가 없다면 200만원까진 주고도 남을텐데..돈은 버는 것보다 쓰는게 중요하죠
 버는만큼 그에 맞게 써야죠..
 저희도 불필요한 지출 줄이고, 월 2배이상은
 더 저금해요

뭐든해보자고라님의 댓글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저도 이정도 받으면 너무 고마울거 같아요. 아낄자신도 있구요. 고맙습니다.

내가너가아저씨님의 댓글

@뭐든해보자고라  실천하시길 바래요. 저는 아이가 1명에 아직 유치원다니지만, 노후며 아이의 미래 자금이며..빚없고 자가에 자산이 많은거 아니면 준비 잘하셔야되요..
 충격적이게도..저는 쓰니남편보다 외벌이로 몇배이상은더 벌어요..제가 공과금 아파트 원금이자, 모든 생활비, 관리비, 보험료, 다 내고 800줍니다. 그거 고스란히 저금해요.. 또래거나 나이가 더 있으실 수도 있는데 일하는 시간은 개인사업아니면 제한적이니 자산이 많은거 아님 두분다 노력하시길..불필요한 사치, 지출만 줄이셔도 되요.  비슷한 고민을 가졌던 가정입니다.

낭만적인놈님의 댓글

남편분 수입이 적으니 매달 200 내면 좋겠네요. 물론 남편분 수입에서 200내면 저축하고 취미생활 갖는건 힘들수도 있겠네요.어쩔수 없죠.애들 키우는게 먼저니까... 그래도 부럽네요.
  저는 외벌이 입니다. 와이프한테 생활비 350주고 대신에 애들 학원비 보험료 대출이자 등등 따로 제가 내구요. 와이프한테 주는 돈에 제가 따로 내는 돈까지 하면 매달 600이상 나갑니다. 그밖에 나가는 돈 많아요. 월수입 8백정도인데 제가 버는 돈으로 겨우 한달벌어 한달 먹고 살아요. 돈을 모을 여력이 없네요.
 외벌이로 언제까지 버틸지 막막합니다.
 말은 안하는데 솔직히 와이프가 나가서 월 2백 이라도 벌어오면 이렇게 힘들지 않을텐데 라는 생각이 드네요.
 죄송해요. 고민 들어 줘야 하는데 제 고민 늘어놨네요 ㅋ

스프링뱅크님의 댓글

맞벌이로 인한 추가지출도 무시못합니다
 예를들자면 각자 사회생활하면서 나가는 그런지출이라던지, 피곤하니까 음식하기싫어질때 외식비중도 높고요, 자녀돌봄에있어 사교육의존도도 외벌이보다 높은편이죠. 남편분과 대화로 잘 풀어보시길 바래요

TedV님의 댓글

전 글쓴분 부부 합산 급여정도 벌고 아이 2에 외벌이입니다.
 
 상황 상 제가 경제적인 것 감당할게 더 있는 것이지, 내가 번 돈 왜 나만 돈 벌어서 더 부담해야돼 이런 생각 가진 적 없네요
 
 힘든 것이야 있겠지만...누가 더 내고 덜 내고 따지는거 그거 남 아닌가요?

약초장어님의 댓글

저희집이랑 딱 반대네요.
 제가 관리비,차량유지비,부모님용돈,경조사비,외식비 이런거 다 챙기구요
 와이프가 버는걸로 애한테 들어가는 의류,학원비  그리고 집에 생필품,부식등등 이런거 씁니다.
 그냥 남편분이 님보다 덜 벌다보니 이런게 불만인듯요. 남자가 더 버는 상황이면 이런걸로 남자들은 불만 가지지도 않아요.

참죽나무님의 댓글

궁금해서 여쭤 봅니다. 남편 + 배우자분 해서 1년 연봉이 약 1억원 정도 되네요. . . 배우자분이 물론 연봉이 훨씬 높으시고
 
 그럼 급여가 각각 입금이 되었을때, 통합통장에 넣어서 관리를 하시는지요? 아님 별도로 생활비만 서로 쉐어해서 쓰시는지요?
 
 저 같은 경우는 제 월급 + 와이프 월급 한통장에 모아서 관리를 하는데요.  생활비 + 공과비 + 아이들 교육비 + 보험료 +  대출 원금상환 등등 기본적으로 매달 고정지출을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은 별도로 적금 및 기타 연금등등에 분산하여 정리중입니다.
 
 물론 신혼초부터 이렇게 관리하고 있구요. 참고로 21년차 부부입니다. 금전이다 보니 부부 상호간에 협의를 하셔서 상호간에 신뢰를 바탕으로 정리가 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저희 부부는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도 서로간에 공유 합니다.
 이렇다 보니 가끔은 비상금도 필요하고 하는데 나름 생활하다 보면 운용의 묘가 생깁니다.
 
 아무튼 여러 경우의 예를 들어서 잘 협의해서 좋은 결과가 도출되길 바랍니다. 그럼 행복하세요. ^^

HG호구렌져님의 댓글

보배 새벽반 수준?
 반대로 하면 이 악물고 개지랄하지 않았던가? 실수 300에서 집에 145만원 내고 나머지 와이프가 벌어서 충당하는데 유세 부린다고? 와이프가 잘못이라고? 보통 남자가 많이 버니까 그러려니 하는거 아니었어? 이 상황은 반대자나?
전체 50,328 / 3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6,796 명
웹서버 사용량: 33.09/150 GB
22%
스토리지 사용량: 83.86/98 GB
85%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