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전문가분들께 질문 있습니다.

컨텐츠 정보

본문

정차중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냉각팬이 작동되잖아요.

 

주행중엔 일정 속도 이상에선 주행풍으로 냉각이 가능하니 

냉각팬에 전력공급이 끊어질테고요.

 

그 시점이 어떻게 됩니까?

 

모든 차가 다 똑같진 않을테지만 대충 비슷할것 같긴 한데

그 속도를 모르겠어서 질문 해봅니다.

 

정비지침서에 나옵니까?

 

 

 

 

 

끝.

관련자료

댓글 12

오바홀님의 댓글

자동차 속도가 아닌 냉매의 압력 및 온도에 따라 냉각펜의 속도가 달라지는것 같습니다. 컴프레셔 압축에의해 냉매압력 및 온도가 높아지고 컨덴서 냉각팬이 개입하며 고속 회전하게 됩니다. 팬 또는 주행풍에 컨덴서가 냉각되어 냉매압력 및 온도가 일정이하로 떨어지면 냉각팬은 꺼지겠죠.

남자는다운힐님의 댓글

저도 그렇게 생각을 했었는데
 아니라고 생각된게 뭐냐면
 겨울철 날씨에도 습기제거를 위해 에어컨이 작동 되는 순간 바로 냉각팬이 돌더라고요.
 여름철이야 말할것도 없고요.
 그래서 생각한게
 주행풍이 없을때 에어컨 작동 - 팬 작동
 충분한 주행풍이 있을 속도 - 팬 꺼짐
 이런 매우 간단한 시스템이 아닐까 하는..ㅋ

오바홀님의 댓글

@남자는다운힐 
 에바 핀센서 온도도 관여합니다. 핀센서 온도는 컴프레셔 작동시점을 결정하는거라... 겨울이여도 핀센서 온도가 규정값인 1~2도보다 높다면 컴프레셔는 작동할것이고 냉각팬은 돌겁니다.
 결국엔 에바 핀센서 온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하는...ㅋ

남자는다운힐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그럼 100키로로 주행중에도 조건만 맞으면 냉각팬은 작동될수도 있을까요?
 냉각팬으로 인한 공기 흡입량보다 주행풍으로 인한 유입량이 더 커도 말이죠.

오바홀님의 댓글

@남자는다운힐 
 넵 주행풍 유입이 많아도 지금같이 뜨거운 여름날 온도에는 거의 상시 가동이지 않을까 합니다;
 컨덴서가 냉각이 되어야 에바 핀센서 온도가 떨어지거든요.
 그래서 오래된 썩차들 컨덴서쪽 먼지나 이물질 세척 해주면 에어컨 시원해집니다

창문열고팔걸치기님의 댓글

에어컨 응축기 팬은 에어컨 동작시 상시 가동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에어컨을 켜면 무족권 냉각팬 돕니다.
 영하의 겨울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전체 44,018 / 3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2,066 명
웹서버 사용량: 39.38/150 GB
26%
스토리지 사용량: 72.57/98 GB
74%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