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단독] 허준이 직접 쓴 ‘동의보감 초고본’ 발굴

컨텐츠 정보

본문

수정 염두 ‘메모·교정부호’ 다수
선조 지시 전 ‘독자적 준비’ 확인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허준의 <동의보감> 초고본(사진)이 발굴됐다. 기존에는 임진왜란 와중이던 1596년 선조의 명령으로 편찬을 시작해 1613년(광해군 5년)에 처음 찍은 판본인 초간본만 전해졌으며, 허준이 직접 쓴 초고본 존재 자체는 알려지지 않았다. 선조의 지시 이전에 허준이 써놓은 <동의보감>의 틀을 확인할 수 있어 관련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동의보감> 초고본으로 추정되는 이 책을 검토한 최영성 한국전통문화대 무형유산학과 교수는 다음달 ‘연민학지’에 게재되는 ‘동의보감 初稿本에 관한 연구’ 논문을 통해 허준의 집필 구상이 담긴 초고본의 구체적 내용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다. 초고본은 중국 옌볜 일대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하던 선교사 김만식씨가 입수한 것으로, 문화재전문위원을 지낸 최 교수가 검증 요청을 받았다.

이 초고본은 출판을 목적으로 집필한 최초의 원고로 보인다. 목차나 내용 등에서 최종본과 적잖은 차이를 보이고, 수많은 메모와 교정부호를 통해 내용 수정을 염두에 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점상으로도 임진왜란 발발(1592년 4월13일) 아흐레 전인 ‘임진 사월 초사일 종필(終筆)’이라는 묵기(墨記)에서 선조의 명령 이전에 허준이 독자적으로 준비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두 본의 비교가 서지학을 넘어 한의학까지 다양한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 교수는 “초고본의 내용 구성과 미완성 항목, 표지 및 배접지의 기록, 연대 추정을 뒷받침하는 기록 등 다양한 물증을 통해 <동의보감> 편찬 과정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자료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관련자료

댓글 5

장래희망님의 댓글

난 이래서 KBS "진품명품" 같은 프로그램이 더 활성화 되고 많이 봐야된다고 생각함. 단순히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골동품이 얼마냐 이게 아니라 어디선가 잠자고 있는 문화재들이 밖으로 나와야된다고 생각함.
전체 42,643 / 9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3,718 명
웹서버 사용량: 39.02/150 GB
26%
스토리지 사용량: 70.17/98 GB
72%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