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오산시 옹벽사망사고, 사실을 바로 잡습니다.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자꾸만 옹벽이 세워진지 2년 밖에 안되었다고 언론사나 방송사에서 보도를 해서

속 상해서 글 올려봅니다.

기자들은 제발 현장에도 가보고 이거저거 조사도 해보고 기사 보내고 하길 바랍니다.

그리고 옹벽붕괴사망사고는 뉴스에 난 그대로 인재가 맞습니다.

필자는 오산에 살지 않고 서울에 사는 주민이지만

해당 구간을 아마도 100번 넘게 지나가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서 서울 사람이라도 해당 지역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주지하기 바랍니다.


1. 해당 사망사고 지점은 오산시 서부로 가장교차로 오산시에서 수원 고색동 방향 고가도로 올라타기 직전 지점입니다. 

서부로에 대한 이해를 돕자면 오산 주민이나 수원 주민들은 알겠지만 1번 도로의 극심한 정체를 분산하기 위한 차원에서 건설이 되었습니다.

수원 성균관대- 금곡지구 - 고색지구에서 오산, 평택시를 국도를 통해 간다면 해당 서부로를 이용하게 되죠. 

해당 도로는 2015년도에 개통이 되었고 저는 15년도에 개통이 되자마자 이용한 사람입니다.

마지막으로 가본지도 아마도 2020년쯤으로 기억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가본 2020년도에도 가장교차로를 끝으로 도로는 종점이었고 평택시로 아직 연결이 안되었을 시점이었습니다.

이 말의 의미는 해당 옹벽은 오랫동안 그러니까 10년 넘게 그 상태에서 방치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2. 사고난 해당 옹벽은 여러분들이 잘 아는 "아모레 퍼시픽" 공장이 자리 잡고 있는 오산 가장 산업단지 바로 옆에 있습니다. 

산업단지에서 수많은 차량이 나와서 해당 교차로를 좌회전해서 수원 고색동 방향으로 가는데

바로 해당 옹벽을 지나가게 됩니다.

즉, 해당 옹벽은 지어진지 2년이 아닌 2015년도에도 이미 지어져있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3. 아래 사진은 오산시를 벗어나 가장교차로에서 우회전해서 서부로를 타기 직전입니다.

멀리 옹벽이 보이죠?

위에 고가도로는 최근에 완성된 평택시 방향 연결 고가도로입니다. 

위 상판부는 아마도 지어진지 5년이 채 안되었을겁니다.

해당 사진은 카카오맵 로드뷰 2023년 11월 사진을 캡처한 것입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4. 아래 사진에서 해당 옹벽을 더 가까히 가보았습니다.

옹벽은 외부는 시멘트이고 내부는 흙으로 채워진 " 거대한 물동이"와도 같습니다.

비가 와서 따로 배출구가 없다면 비오는 내내 옹벽은 언제라도 무너질수 있는 "거대한 물동이"와도 같습니다. 이게 지난 10년이상을 어떻게 버텨온 것입니다.

사진은 카카오맵 로드뷰 2023년 11월 사진을 캡처한 것입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5. 가장교차로 옹벽 모습니다.  

카카오맵 로드뷰 2023년 11월 사진을 캡처한 것입니다. 

외관을 잘 살펴보기 바랍니다. 

그 어떤 배출구멍이 1개라도 있는지 찾아보세여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6. 해당 옹벽이 물을 머금은 흙의 무게를 이기지 못 하고 무너진 순간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옹벽의 외관을 잘 살펴 보세요

배출구멍 1개 하나 없습니다.

비가 오면 내부의 흙은 그냥 그대로 물을 담아놓은 거대한 용기와도 같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사망사고는 인재가 맞고

건설에 관한한 문외한인 제가 봐도 이상한데

그동안 건설전문가조차 문제제기가 없었다는게 신기할 정도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5

뫼달님의 댓글

해당 옹벽은 보강토옹벽으로 전면부가 콘크리트 블럭으로 되어있으며 별도의 배수관이 설치되지 않아도 블럭사이로 배수가 원활한 구조입니다. 개인적으로 배면 뒷채움 흙을 모래성분의 사질토로 해야하나 점질토 성분이 많은 재료를 사용하여 투수계수가 낮은 탓에 침투수 유입시 전면으로 배수가 어렵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다시말하면 보강토 옹벽자체는 구조상 높은 옹벽에 사용되는 적합한  공법이지만 시공상 뒷채움재료 관리가 부실하지 않았나 싶네요.

갤롭짱님의 댓글

보강토옹벽은 원래 배수구멍 시공없고 뒤에 골재채우고 하부에 유공관 시공해서 배수시키는 구조에요..

멋진닉을갖고싶다님의 댓글

뉴스볼땐 몰랐는데,
 이렇게 설명해주신 글 보니
 저도 엄청 자주 지나가던 곳이네요.

치웅천황23님의 댓글

부실설계...부실시공...관리부재 갇은데요?
 10년된 옹벽이 저리 무너지는건...있을수 없는 일입니다.
 최소...60년은 가요...,
 선진국 같은 경우..콘크리트 구조물. 수명을 100년으로 봐여...
전체 40,657 / 3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7,285 명
웹서버 사용량: 38.10/150 GB
25%
스토리지 사용량: 66.50/98 GB
68%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