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아버지께서 곧 세상을 떠나실 것 같습니다.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암 수술을 받으신 아버지께서 이제 곧 세상을 떠나실 것 같습니다.

마음이 너무나도 힘들지만, 제가 장남이자 가족의 가장이기에

제 감정은 뒤로하고 우선 현실을 마주하려고 합니다.


부모님 두 분 중 한 분을 처음으로 보내드리는 일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절차적인 부분이 너무나 막막합니다.


혹시 아버지께서 집이나 병원에서 돌아가신다면,

그 이후로 제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는지,

어떤 절차를 따라야 하며, 무엇을 유의해야 하는지 등

경험이 있으신 인생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10

wasted님의 댓글

장례식장부터 찾으시고 화장하실꺼면 가까운 화장장 예약부터 해야합니다..

국외의원님의 댓글

일단 집보다는 병원에서 돌아가셔야 일처리가 수월합니다.
 병원에서 돌아가신다면 거기계신분들이 다 일러주실겁니다.
 힘내세요

배룩이님의 댓글

다들 갑작스레 겪은일이고,, 자연스레 경험하게 되더라구요 병원이시면 장례식장 연결되어있을것이고 일단 가족중 누구라도 상조 있으면 미리 연락해서 조언받으셔요 상 다 치루고나서 할일이 더 많더라구요 ㅠ 아버지 가시고 7개월이 지났는데 저는 아직도 힘듭니다 고생만하셔서,,

s강상민s님의 댓글

상조보험이 없으시면 윗댓글처럼 병원에서 임종을 하셔야 도움받기가 수월합니다.
 
 요즘도 화장대란인지는 잘몰라서 예약도 미리 알아보셔야 합니다.
 
 큰 도움은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기운내십셔(__)

Ekfkddl님의 댓글

안타깝지만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현실적이 되어야 하더라구요
 집에서 돌아가시면 경찰에서도 온다하더군요 병원에서 돌아가시는게 절차는 간단합니다 의사가 사망선고 하면 장례가 시작되니까요 상조는 없더라도 상관없어요 병원 자체에도 상조가 있을수 있으니 해당 병원 사무실에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저도 올 설날바로 전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네요  저는 카톨릭 계열 병원에 있는 상조 선택했는데 만족 스러웠습니다 아무쪼록 마지막 가시는길 잘 해드리시길 바랍니다

민족의혼님의 댓글

나이가 드니 아버지, 어머니, 글자만 봐도 눈물이 고이더군요. 힘내십시오.

묵묵히님의 댓글

부모님 두분다 후불상조로 장례치뤘습니다.
 상조없으시면 후불상조 전화하시면 장례지도사 배정후 오셔서 장례식장부터 발인,장지는 어찌할건지 소개부터 다 얘기하면서 하나하나 처리하시면됩니다.아니면 장례식장 자체로 하신다면 식장 관리자분이랑 얘기하시면 화장하실거면 예약이나 추모관소개까지 도와주십니다.아무쪼록 힘내시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탈경자님의 댓글

1. 아버님 형제분들, 친척, 친구분들에게 지금 상황 알리고 마지막 인사하도록 연락
 2. 장지. 화장후 납골당에 모실지 아님 산소로 할지 가족끼리 상의. 시립 공원묘지가 가격싸고 좋음. 사립, 시립 가격 차이 많음. 미리 전화나 인터넷으로 가격 알아봄. 그리고 전화해서 자리 있는지 확인후 절차 문의. 화장장 부족으로 3일장이 아니라 4일장 할 수도 있고 아님 멀리 지방 화장장 이용해야함. 그럼 4일장하면 하루 돈 더 쓰게 됨. 먼 지방 화장장 이용시 화장장 따라온 분들 점심 식사 준비해야 함. 화장 최대한 오전으로 잡아 달라고 하면 좋음
 3. 가족 중 가입 상조회사 있는지 확인 후 있으면 이용할지 말지 결정. 후불상조 즉 가입안했지만 전화해서 이용하고 싶다고 하고 이용하면 됨. 상조회사 고객센터는 24시간. 아님 대학병원 장례식장은 상조회사처럼 도와주는 곳 있음. 전화해서 그쪽 장례식장 이용하고 싶은데 상조가입 안했다 도와줄 수 있냐 물어보면 됨. 이용하고 싶은 장례식장 병원이 아니라 다른 병원에서 돌아가시고 이용하려는 장례식장으로 가려면 사설구급차 이용하면 됨. 상조회사, 장례식장, 사설구급차 99.9% 24시간 전화 받음.
 4. 부고 알림 문자 보낼 분들 가족 각자 확인. 상조회사 이용하면 이것도 다 도움 줌. 상조회사 이용하면 돈은 더 들지만 이런 모든 절차 다 친절하게 알려줌.
 5. 장례식장 안 호실도 조문객 인원수에 따라 보통 2~3가지 있음. 그 중 조문객 예상해서 고르면 됨.
 6. 요즘은 조문객 보통 밤 12시까지 받고 유가족분들 주무시면 됨. 밤샘하는 경우 거의 없음.
 7. 장례식장 내 보통 작은방 있음. 혹시 모를 경우 대비해서 저 같은 경우는 장남, 차남, 장손만 장례식장에서 자고 나머지 가족들은 밤 11시에 집에 가서 자고 오라고 했음.
 8. 사망진단서는 사망선고한 병원에서 발급. 혹시 모르니 20~25장 정도 발급 받음. 인터넷 발급 안됨. 그 병원원무과에 가야 함
 9. 돌아가신 분 은행, 보험, 주식 등 상속인 금융 거래 조회 신청하면 한방에 재산, 빚 알 수 있음. 당연, 개인간 거래는 모름. 방법은 네이버 검색하면 됨
 10. 조문객들 복장은 혹시 물으면 검은정장 아니라도 신경 안써도 된다고, 와주기만해도 고마움.
 11. 조문예절도 저 같은 경우 각자 종교가 있으시면 그 종교대로, 편하신대로 하면 된다고 절하기 전에 말했음. 절하고 상주하고 맞절, 서서 기도하고 가볍게 목례등 편한대로

탈경자님의 댓글

12. 장례식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것은 유료임. 무료는 단 1도 없다 생각하면 됨.
 13. 납골당은 여러 층으로 되어 있고 사설은 층수에 따라 가격이 다름. 눈높이 층이 가장 비쌈. 시립, 군립 공원묘지 내 납골당은 대부분 그런거 없음. 단, 그 지역 주민이냐 아니냐에 따라 다름. 그 지역 주민이라도 거주기간이 얼마 이상이냐 아니냐에 따라 다름
 14. 남으신 어머님이 많이 힘들거임. 저 같은 경우 어머니 먼저 가고 남은 아버지가 너무 힘들어해서 정신과 상담, 치료 받았음. 많은 도움 됨
 15. 장례에 사용할 사진 미리 골라 놓음. 작은 증명사진이든 어떤 사진이든 영정사진 전문 제작자분이 영정사진으로 만들어 줌. 이것도 상조회사나 장례식장 협력 사진사분 계심. 가족은 영정사진으로 사용할 사진만 준비하면 됨. 다시 한 번 모든 절차는 상조회사 이용하면 회사 장례지도사분이 알려줌. 아님 장례식장에서 알려줌. 상조회사처럼 알려주고 도와주는, 물론 돈줘야 함, 대형병원 장례식장은 미리 확인해야 함. 상조회사 가입 안했다 니들이 돈주면 상조회사처럼 다 도와주냐? 상조회사보다 싸냐? 확인해야 함.
 16. 돌아가신 분 사망신고는 최대한 빨리 해야 함. 사망신고 처리가 생각보다 며칠, 1주일 이상 걸릴 수도 있음. 사망신고 처리 완료후 유가족이 사망자분 돈 인출할 수 있음.
 17. 아버님 사망신고 처리 완료 후 어머님, 자녀분들이 다같이 은행가거나 위임장 받고 한 분이 가면 됨.
 18. 조의금 그날, 그날 확인하고 장례비용 정산은 어떻게 할 지 가족들하고 상의. 평균 장례비용 1500만원 생각하면 됨. 장례절차에서 뺄 수 있는거 아낄 수 있는거 다 해야함
 19. 화장 시 유골단지함 미리 준비. 경황없어 화장장 근처 가게에서 매우 비싸게 사는 경우, 상조회사에서 추천하는 비싼거 사는 경우 많음. 인터넷으로 미리 알아보고 준비할거 추천
 20. 장례식장, 화장장, 장지 될 수 있으면 공공, 공립, 시립, 군립 이용 시 절약됨

탈경자님의 댓글

21. 유골단지함 미리 준비, 동네 사진관에 가서 확대해서 영정사진 미리 준비, 공공장례식장, 최대한 오전시간 시립or군립 화장장, 시립or군립 공원묘지 이용하면 비용많이 아낄수 있을거에요
 
 조금이나마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전체 38,631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3,229 명
웹서버 사용량: 36.80/150 GB
25%
스토리지 사용량: 62.84/98 GB
64%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