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군함도 의제 채택 실패 비판하다 역풍
컨텐츠 정보
본문
지난 2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향후 대여 견제 행동계획 등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유네스코 무대에서의 군함도 의제 채택 실패를 두고 "국제사회 설득을 위한 외교 전략의 부재와 준비 부족이 빚은 뼈아픈 결과”라며 이재명 정부를 비판하자 온라인에선 윤석열 정부 때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 당시 침묵하던 나 의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나 의원은 지난 8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이번 표결은 한일 과거사 문제를 두고 국제무대에서 벌어진 외교전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우군 확보도 못한 채, 외교 무대에서 패배의 전례만 남겼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나 의원은 또 "일본은 지난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full history)'를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그러나 등재 이후 전시관에서는 강제징용의 진실이 철저히 가려졌고 희생자를 위한 추모는 형식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지어 지난해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당시에도 우리 정부는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찬성표를 던졌지만, 돌아온 것은 '강제'라는 표현조차 없는 전시와 한국 측 유가족이 배제된 반쪽짜리 추도식이었다"며 "이런 전례가 있음에도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책임을 분명히 묻는 외교적 대비는 여전히 미흡했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지금 필요한 건 철 지난 '친일·반일' 구호가 아니라 일본의 역사 왜곡을 국제적으로 바로잡기 위한 치밀한 외교 전략이다. 감정의 선동이 아니라, 국제 규범과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정교한 외교 전략으로 일본의 역사 왜곡에 맞서야 한다"며 "다자 외교 채널을 적극 활용해 강제동원의 진실을 세계의 기록으로 남기고 피해자들의 존엄을 회복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엔 강제동원의 진실을 알려야 한다는 나 의원의 주장에 공감하는 동시에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주로 2022년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던 당시 윤석열 정부의 외교 태도를 지적하며 옹호하던 나 의원의 태도를 짚었다.
군함도 등재 때와 달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으로 투표권을 갖게 된 한국은 당시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의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 측 요구사항을 수용하자 반대표를 행사하지 않았다. 군함도 등재는 컨센서스(만장일치)로 결정됐다.
이날 네티즌들은 "윤석열이 일본에 다 줄 때는 조용히 있더니 이제 와서 떠든다", "윤건희가 저지른 걸 왜 이재명한테 치우라고 하나" 등의 반응이 나왔다.
특히 한 네티즌은 "2015년 박근혜 정부 때 군함도, 2022년 윤석열 정부 때 사도광산 등재했다. 누구 탓을 하냐"며 반문하기도 했다.